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3

유상증자 총정리 (주식, 주주, 자본금)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주식을 새로 발행하고,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받아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이 외부 자금을 조달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 사업 확장이나 재무구조 개선 등의 목적을 가지고 진행된다. ‘유상’이라는 말 그대로 대가를 받고 주식을 발행하는 것이며, 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기존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나누어주는 무상증자가 있다.  유상증자는 주식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기업 입장에서는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지만, 주주 입장에서는 주식 수가 늘어나 주당 가치가 희석될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하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유상증자의 방식과 목적, 그리고 그에 따른 시장 반응을 이해하는 것은 주식 투자자에게.. 2025. 3. 28.
한국예탁결제원 총정리 (증권,예탁, 결제, 청산) 한국예탁결제원은 국내 증권시장의 핵심 인프라 기관으로, 증권의 예탁, 결제, 청산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다. 정식 명칭은 ‘한국예탁결제원(Korea Securities Depository, KSD)’이며, 1974년 설립되어 한국 자본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왔다. 투자자와 금융기관, 기업 등 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안전하게 증권을 거래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관이다.  예탁결제원의 주요 기능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증권예탁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실물 증권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능으로, 예탁된 증권은 전산으로 관리되어 실물 없이도 거래가 가능해진다. 둘째, 결제업무로, 이는 주식이나 채권 거래가 이루어진 후 매수자와 .. 2025. 3. 28.
러셀2000(Russell 2000) 총정리 (시가총액, 미국 주식) 러셀2000(Russell 2000)은 미국의 소형주 지수로, 시가총액이 작은 2,000개의 상장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수는 미국 주식 시장에서 중소형주의 전반적인 흐름을 반영하며, 대형주 위주의 S&P500이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다. 러셀2000은 대기업보다 더 민감하게 경기 변화에 반응하며, 투자자들에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러셀2000은 FTSE 러셀(FTSE Russell)이 운영하며, 매년 6월 재조정된다. 이는 전체 러셀3000 지수의 하위 2,000개 기업을 기준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산업에 걸쳐 있는 소형 기업들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이 지수는 미국 내 경제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선행지표로도 활용된다. 특히 .. 2025. 3. 27.
다우(Dow) 총정리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다우(Dow)는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용어로, 주로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주가지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를 의미한다. 흔히 '다우지수'라고도 불리는 이 지수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 상장된 주요 3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다우지수는 19세기 후반 찰스 다우(Charles Dow)와 에드워드 존스(Edward Jones)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으며,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널리 인용되는 주가지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다우지수의 구성과 산출 방식다우지수는 단순 주가 평균 방식으로 계산되며, 구성 종목의 주가를 더한 후 특정한.. 2025. 3. 27.
S&P500 총정리 (미국 주식, 우량 기업) S&P500은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주가지수 중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참조되고 활용되는 금융 지표 중 하나다. Standard & Poor's에서 발표하는 이 지수는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형 우량 기업 500개의 주가를 종합하여 산출된다. S&P500은 시장 전체의 흐름을 반영하는 데 탁월한 지표로 평가되며,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 기준이 되기도 한다.  S&P500 지수는 단순히 500개 기업의 주가 평균을 낸 것이 아니라,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된다. 즉, 시가총액이 큰 기업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같은 기술 대기업의 주가 변화는 S&P500 전체 지수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S&.. 2025. 3. 27.
나스닥(NASDAQ) 총정리 (미국 주식, 기술주) 나스닥(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식시장 중 하나로, 전 세계에서 기술 중심 기업들이 가장 많이 상장된 거래소로 잘 알려져 있다. 나스닥은 1971년 세계 최초로 전자식 주식 거래 시스템을 도입하며 금융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꿨으며, 현재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알파벳), 메타(구 페이스북) 등 글로벌 대형 기술주들이 주로 거래되는 곳이다.  나스닥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함께 미국의 양대 주식시장 중 하나로, 기술주 중심의 지수라는 특성상 혁신과 성장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특히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Index)는 전체 상장 종목의 주가를.. 2025. 3. 26.